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풍경531

금오산 일출 다녀온날 : 2019년 9월 3일 다녀온곳 : 금오산(875 m) - 경남 하동군 , 금남면. 진교면 누 구 랑 : 홀로 금오산 금오산은 일출이 좋고 한려수도 작은섬들의 아름다운 경치를 조망하고 즐길수 있는 산이며 북쪽으로는 지리산 라인이 장엄하게 펼쳐지는 조망이 일품인 좋은 산이다 맑은 하늘이 좋.. 2017. 9. 3.
남해 금산 산행일시 : 2017년 8월 26일(토), 날씨 : 구름많음 산 행 지 : 금산(錦山), 701m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이동면 산 행 자 : 홀로 산행코스 : 제2주차장⇒금산정상⇒제석봉⇒보리암⇒제2주차장(원점회귀) 조망처에서 보는 남해바다 연일 비가 오다가 오늘은 모처럼 파란 하늘을 볼수 있다는 기상예.. 2017. 8. 26.
황계폭포 황계폭포 경상남도 합천군 용주면 황계2길 30 소재 합천 오도산 다녀오는 길에 들려 보았다 높이 20 여미터 되는 절벽위에서 시원하게 떨어저 내리는 폭포수 아래에 가면 더위가 싹 물러간다 폭포수는 일년내 마르지 않고 지금처럼 떨어저 내린다고 한다 주위의 아름다운 경치와 잘 어울.. 2017. 8. 25.
오도산 2017년 8월 25일 오도산 경남 합천 묘산면 봉산면과 거창군 가조면과의 경계에 있는산 해발 1,134m 오도산은 도선국사가 깨달음을 얻었던 곳으로 숙성산 정상에서 이 산을 보면서 산의 기운과 형상에 도취되어 꼬박 일주일을 움직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를 본 주민들이 도선이 잠든 것으라 .. 2017. 8. 25.
성문밖 숲 자주빛 향기 2017년 8월 16일 비가 오다 그친 날 경북 성주 성문밖 숲에 맥문동 꽃이 곱게 피었다는 소식에 . . . 맥문동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뿌리의 생김에서 따온 것이다.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라는데 그 때문에 아파트나 빌딩의 그늘진 정원에 많이 심어져 있다. .. 2017. 8. 16.
내소사 내소사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변산반도 남단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말사이다. 원래 이름은 소래사였으며 633년(선덕여왕 2) 신라의 혜구(惠丘)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석포리에 상륙해 이 절을 찾아와 군중재를 시주.. 2017. 8. 5.
선운사 2017년 8월 4일 선운사 배롱나무 꽃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에 동백꽃으로 유명한 고창 선운사 대웅전앞 배롱나무가 붉은 울음을 토해내어 여름을 더욱 뜨겁게 달군다 선운사 전라북도 고창군 삼인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24교구 본사. 창건에 대해서는 신라의 진흥왕이 창건했다는 설과 .. 2017. 8. 5.
국사봉. 옥정호 운해 2017년 8월 4일 국사봉 일출과 옥정호 운해 일출전 산그리매와 운해의 아름다운 변신 국사봉에서 보이는 운암대교와 옥정호 운해 운해가 저 아래 전망대 정자 있는 곳으로 넘어와야 하는데 저기에서 맴돌다가 사라저 버린다 국사봉 일출 열대야로 깊은잠 들지않고 뒤척 이다가 야외로 나.. 2017. 8. 4.
간월암 간월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있는 작은 암자. 전언에 의하면 무학대사가 이곳에서 달을 보고 홀연히 깨쳤다고 하여 암자 이름을 간월암(看月庵)이라 하고 섬 이름을 간월도(看月島)라 하였다고 한다. 이곳에서 수행하던 무학대사가 태조 이성계(李成桂)에게 보낸 간월도 .. 2017. 8. 3.
명재고택 논산 명재 고택(論山 明齋 古宅)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이다. 1984년 12월 24일 대한민국 국가민속문화재 제190호 윤증선생고택(尹拯先生故宅)로 지정되었다가, 2007년 1월 29일 논산 명재 고택(論山 明齋 古宅)으로 문화재 지정명칭이 변경되었다. 조선 숙종 때의 학.. 2017. 8. 3.
실상사 배롱나무꽃 전북 남원 산내면 입석리 실상사 산 아래가 아닌 평지에 자리한 유일한 사찰 국보와 보물이 가장 많은 사찰 , 하얀색, 붉은색 배롱나무꽃이 나란히 피어서 조화를 이룬다 배롱나무 꽃이 아름답게 만개하여 이 뜨거운 여름. 폭염의 더위를 식힌다 2017. 7. 27.
광한루 배롱나무꽃 광한루 - 보물 제281호. 조선시대의 재상 황희가 남원에 유배가서 1418년 현재보다 규모가 작은 누를 지어 광통루(廣通樓)라 했는데, 1434년 남원부사 민여공(閔汝恭)이 증축했고, 1444년(세종 26) 전라관찰사 정인지(鄭麟趾)에 의해서 광한루라 불리게 되었다. 또한 광한루는 판소리 춘향가의 .. 2017. 7. 27.